본문 바로가기
생활 및 복지

새뱃돈, 언제 부터 줬을까?

by 쿠아왕 2024. 2. 15.

새뱃돈은 언제까지 받는게 좋을까요? 사람마다 생각하는 나이 기준과 금액은 다를 겁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세배를 받고 세뱃돈을 준다는 설 문화는 모두가 당연하게 생각하는데요. 그럼 언제 부터 세뱃돈을 주는 문화가 생겨 났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과거 세배문화

세배는 있었지만 세뱃돈은 없었어요. 세배 문화는 고려 시대 때도 있었어요. 고려 시대는 불교가 문화의 중심이었다 보니, 해마다 정월이 되면 절에서 통알이라는 신년 행사를 치렀습니다. 이 때 스님에게 신도들이 세배를 했죠

 

이후 조선 시대에는 유교문화가 정착되면서 벼슬아치들 간의 세배 문화가 중요해지면서 하급 벼슬아치들이 고위 관료들에게 문안인사를 했습니다. 이 새해인사가 발전해 가족이나 가문에서 차례와 성묘를 들리는 가운데 세배를 하는 문화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돈을 주고받는 세뱃돈을 주는 문화는 없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화폐가 활발히 유통되지 않았을뿐더러 명절 때는 또래끼리 모여서 윳놀이를 하는 등 공동체의 세시 풍속이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세뱃돈의 시작

세뱃돈은 시작은 일제 강점기 세배의 대가로 돈을 받는 문화가 본격화되었습니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화폐의 가치가 점차 중요해지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돈을 주고받는 문화가 자리 잡은 것입니다.

 

해방이후 세뱃돈 문화

 

1945년 해방 이후에도 세뱃돈 문화는 사라지지 않았어요. 워낙 어려웠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세뱃돈을 주는 것은 미덕이라 여겨졌습니다.

 

90년대 국민학생 평균 세뱃돈은 4만원 경제가 발전하고 사회가 고도 성장기에 들어서니까 그만큼 세뱃돈의 액수도 올라가고 아이들의 소비 문화도 주목을 끌기 시작했습니다. 1995년에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학생은 '부모, 조부모 등 평균 5명에게서 4만원 정도를 받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세뱃돈 문화를 '고유의 미풍양속'으로 여겼어요. 어느덧 사람들에게 세뱃돈은 떡국만큼 대표적인 명절로 인식된 것입니다.